JS 탐구생활 - undefined 판정 방식과 이유
- javascript
1. 시작
JS를 쓰다 보면 특정 변수가 undefined
인지 판정해야 할 때가 있다. 함수 선언에 명시된 인자가 넘어왔는지를 판단할 때, 브라우저 호환성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특정 키워드나 메서드가 존재하는지 확인할 때 등이다.
이때 단순히 ===
연산자를 사용해서 undefined
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판정할 수 있다. 예를 들어서 함수에 첫번째 인자가 넘어왔는지 확인하는 코드를 이렇게 짤 수 있다.
이런 경우 if (!a)
등으로도 판정할 수 있다. 하지만 null
이나 빈 문자열 등도 조건문을 통과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명시적으로 undefined
와 비교하는 것이 낫다. 여기까지는 일반적인 이야기이다.
그런데 옛날 코드들을 보면 다른 방식들을 볼 수 있다. 예를 들어서 typeof a === 'undefined'
나 a === void 0
등이다. 이런 방식들은 어떤 이유로 사용되었을까?
이는 ES3까지는 전역 객체 프로퍼티 undefined
가 수정 가능했기 때문이다. 즉 전역에서의 undefined
라는 이름을 다른 값으로 덮어쓸 수 있었다. undefined
는 JS의 예약어도 아니기 때문에 가능했다. 그래서 이렇게 덮어씌워진 undefined
와 비교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 앞서 언급한 다른 비교 방식들을 사용하였다.
그럼 이 말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, 이제부터는 좀 더 깊이 알아보자. 이런 것들을 보려고 한다.
- 왜
undefined
판정에===
연산자만으로는 부족했는가 - 이전에 쓰였던
undefined
판정 방식들 - 각 방식의 장단점
2. 왜 === undefined
만으로 부족했는가
왜 undefined
판정에 ===
연산자를 통한 단순 비교 외의 방식들이 사용되었을까? 앞서 이야기했듯 ES3까지 undefined
가 전역에서 수정 가능했기 때문이다. 이 이야기는 undefined
에 관한 현재와 과거의 명세를 비교해 봄으로써 알 수 있다.
2.1. undefined의 현재 명세
먼저 현재의 명세에서 undefined
를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살펴보자.
ECMAScript 명세에서는 undefined
값을 아직 값을 할당하지 않은 변수에 쓰이는 값으로 정의하고 있다.1
4.4.13 undefined value
primitive value used when a variable has not been assigned a value
그리고 바로 다음 섹션에서 undefined
타입이란 undefined
값 하나만을 가지는 타입이라고 정의한다. 이 undefined
타입은 ECMAScript 명세에서 정의하는 타입으로도 나와 있다.
6.1.1 The Undefined Type
The Undefined type has exactly one value, called undefined. Any variable that has not been assigned a value has the value undefined.
그럼 우리가 쓰는 이 undefined
값은 어디서 오는 걸까? 이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이다.
전역 객체의 프로퍼티에 대한 명세에서 undefined
는 undefined
값을 가지는 프로퍼티로 정의되어 있다.
19.1 Value Properties of the Global Object
(생략)
19.1.4 undefined
The value of undefined is undefined (see 6.1.1). This property has the attributes { [[Writable]]: false, [[Enumerable]]: false, [[Configurable]]: false }.
즉 undefined
는 undefined 타입이 포함하는 유일한 값이며 전역 객체의 undefined
프로퍼티를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값이다. 이 프로퍼티는 [[Writable]]
, [[Enumerable]]
, [[Configurable]]
설명자가 모두 false
로 정의되어 있다. 따라서 프로퍼티의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하고 설명자 수정도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따라서 지금 ES5에서는 전역 프로퍼티 undefined
의 수정이 불가능하다. 그럼 ES3까지는 어땠을까?
2.2. undefined가 수정 가능하던 시절
ES3의 명세에서는 전역 객체 프로퍼티 undefined
를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.
15.1.1 Value Properties of the Global Object
(생략)
15.1.1.3 undefined
The initial value of undefined is undefined (section 8.1). This property has the attributes { DontEnum, DontDelete }.
이때 지금의 [[Writable]]
설명자에 해당하는 [[ReadOnly]]
라는 property attribute가 있었다. 그런데 당시의 undefined
는 명세상 해당 어트리뷰트를 갖고 있지 않은 걸 볼 수 있다. 지금으로 따지면 [[Enumerable]]
와 [[Configurable]]
는 false
이고 [[Writable]]
는 true
였던 것이다.
따라서 이 시절에는 undefined
전역 객체 프로퍼티를 다른 값으로 덮어쓸 수 있었다.
undefined
라는 이름을 코드 상에서 쓰게 되면 전역 객체 프로퍼티 undefined
라는 key를 통해 undefined
값에 접근하게 되는데, 이 key가 다른 값에 할당되어 있어서 undefined
값이 아닌 다른 값이 반환되는 상황이 가능했던 것이다.
이는 특정 값이 undefined
인지를 판정할 때 a === undefined
와 같이 비교한다면 문제가 될 수 있었다. undefined
가 다른 값일 수 있었으니까. 앞서 보았던 typeof a
를 활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이를 피할 수 있었다.
2.3. undefined의 수정 가능성
앞서 ES3까지는 전역 프로퍼티 undefined
를 수정할 수 있었다는 걸 보았다. 그런데 이런 일이 일어날 가능성은 있었을까?
undefined
를 실수로 수정하게 되는 상황이 정말 일어나기 힘든 일이었다면 앞서 설명한 undefined
판정 방식들이 필요 없었을 것이다.
그런데 이는 실수로 흔히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다2. 다음과 같이 this
의 프로퍼티에 값을 할당하는 함수가 있다고 하자.
그런데 이 함수가 전역 스코프에서 호출된다면? this
는 전역 객체를 가리키게 된다. 이때 key
가 undefined
라면 전역 undefined
프로퍼티에 값이 할당되어 버린다.
물론 assign('undefined', 1)
과 같이 개발자가 명시적으로 undefined
를 넘기려고 할 일은 잘 없을 것이다.
하지만 obj['foo']
를 assign
의 key
인수로 넣었는데 obj
에 foo
프로퍼티가 없는 경우 등 실수로 undefined
를 인수로 넘길 수 있는 가능성은 많다.
이런 경우 전역 객체 프로퍼티 undefined
의 값을 덮어쓰게 되면서 코드 전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다. 따라서 이런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undefined
를 판정할 때 ===
연산자만으로는 부족했던 것이다. 이제 그때 쓰였던 방식들을 살펴보자.
3. 이전의 방식들
undefined
가 전역에서 수정될 수 없도록 한 건 ES5부터이다. 그래서 ES5가 널리 쓰이기 전의 자료들을 보면 다양한 undefined
판정 방식을 볼 수 있다.
3.1. typeof 연산자 사용
현재 실행 환경에 특정 기능의 메서드나 프로퍼티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기 위해 undefined
와 비교하는 예제에서 이런 방식을 볼 수 있다3.
앞서 제시한 코드의 출처 말고도 다양한 도서들4에서 typeof
를 이용한 undefined
판정 방식을 볼 수 있다.
도서 외에도 jQuery의 기여 가이드5의 스타일 가이드에서 전역 변수에 대해서는 typeof
를 이용한 판정을 권장하는 등 여러 곳에서 이 방식을 볼 수 있다.
typeof
는 전역 객체 undefined
프로퍼티가 갖고 있는 값과 상관없이 작동하여 값이 undefined
인지 판정할 수 있었기에 이런 방식이 쓰였다.
3.2. void 연산자 사용
void 0
이나 void(0)
과의 비교도 자주 쓰이던 방식이다. void
는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undefined
를 반환하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이를 이용해서 undefined
값을 얻은 후 이용하는 것이다.
babel의 소스 코드 등에서 이를 찾을 수 있다. 다음은 클래스 관련 코드를 babel로 변환했을 때, 생성자를 처리하기 위한 코드의 일부이다6. self
가 undefined
인지 판정할 때 void 0
과 비교하는 코드를 볼 수 있다.
이 외에도 해당 파일의 다른 babel 헬퍼 함수들에서도 void 0
과의 비교를 통한 undefined
판정을 볼 수 있다.
void 0
은 전역 undefined
프로퍼티와 상관없이 동작했다. 또 void
는 연산자였고 예약어였기 때문에 기능 수정 같은 게 불가능했고 따라서 늘 확실하게 undefined
값을 얻을 수 있었다.
3.3. 변수 shadowing7
undefined
는 ES3까지 전역에서 값을 덮어쓸 수 있었다. 하지만 이렇게 덮어쓴 전역의 undefined
도 다른 스코프에서는 또 shadowing될 수 있었다.
이를 이용해 undefined
를 덮어쓰고 비교하여 판정하는 방식도 있다. 다음은 이런 방식을 사용한 예제이다. 일부러 즉시 실행 함수의 인자 이름을 undefined
로 하고 인자를 넘기지 않음으로써 전역 undefined
를 덮어쓴 후 undefined
를 판정하는 코드이다.
따라서 check
함수는 a
가 진짜 undefined
일 때 true
를 반환한다. backbonejs 등에서도 이 방식을 볼 수 있다고 한다.8
4. 각 방식의 장단점
현재 기준으로는 ===
를 이용해서 undefined
와 단순 비교를 통해 판정하는 게 가장 간단하고 직관적이다. 하지만 지금은 ES3 시절 전역 객체 프로퍼티 undefined
를 덮어쓸 수 있었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나왔던 방식들을 다루고 있다. 따라서 당시의 방식들에 대해 이야기한다.
4.1. typeof 방식
앞서 언급한 다른 방식들과 typeof
를 이용한 방식이 다른 게 하나 있다. 이 방식은 아직 선언되지 않은 변수에 대해서도 오류 발생 없이 작동한다는 것이다. 다른 방식의 경우 undefined
판정 시도 시 ReferenceError가 발생한다.
이는 경우에 따라 장점일 수 있다. 예를 들어 브라우저에 특정 기능이 있는지 판단하는 feature detection을 할 경우 브라우저에 따라 스코프에 해당 이름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. 이럴 경우 typeof
를 이용한 판정이 목적에 맞고 더 안전하다.
예를 들어 commonJS 환경인지 판정할 때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볼 수 있다. 이 경우 module
이라는 이름이 아예 스코프에 없을 수도 있기에 typeof
를 이용한 판정이 적절하다.
그런데 typeof
를 이용하는 방식의 이런 점은 대부분의 경우에는 모호할 수 있다는 단점이 될 수 있다. 다음과 같은 코드를 보자. 다음과 같은 조건문은 foo
가 아예 선언되어 있지 않을 때와 foo
가 선언되어 있지만 undefined
일 때를 구분하지 못한다.
만약 오타로 인해 조건문을 잘못 써서 아예 선언되지 않은 변수를 판정하려고 했을 때, 이런 실수를 찾아내기 어려울 수 있다.
작은 차이가 하나 더 있는데 document.all
이라는 특이한 객체에 대해서도 typeof
를 이용한 판정이 가능하다. document.all
은 페이지의 모든 요소를 배열로 가지고 있는 객체인데, 이 객체는 IE에서 쓰였고 호환성을 위해 남아 있다.
이 객체는 실제로 undefined
가 아니기 때문에 document.all === undefined
는 false
를 반환한다. 하지만 typeof document.all === 'undefined'
는 true
를 반환한다. 이런 사실은 document.all
이 있는지를 통해 IE를 판정하는데 쓰일 수 있다. 물론 document.all
이 거의 묻힌 지금은 큰 의미 없다.
또한 이 방식에는 피연산자의 타입을 판정하는 과정이 있기 때문에 느릴 '수도' 있지만 일반적인 엔진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.
4.2. 다른 방식들
변수 shadowing 방식은 코드도 길고 가독성도 떨어졌다. 그리고 역시 함수 스코프 내에서는 undefined
를 덮어쓸 수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까지 안전한 방식도 아니었다. 따라서 다른 방식들에 비해 떨어지는 점이 많았고 쓰이는 예시도 거의 찾을 수 없었다.
void 0
을 이용한 방식은 값이 undefined
인지를 판정한다는 점에서는 가장 안전하고 명확했다. void
는 연산자이고 예약어여서 수정 불가능했고 언제나 안전하게 undefined
를 얻을 수 있게 해주었다.
void 0
과의 비교는 '값을 다른 어떤 값이랑 비교한다'는 것도 명확히 보여주었다. 하지만 undefined
를 써서 비교하는 것보다는 직관성이 덜하기는 했다. 따라서 isUndefined
와 같이 이름을 통해 목적을 드러내주는 함수들을 만드는 방식도 쓰였다.
5. 여담
5.1. undefined는 지금도 shadowing 가능하다
ES5부터는 전역 프로퍼티 undefined
가 수정할 수 없게 되었다. 하지만 이는 전역 스코프에서만 해당하는 일이다. undefined
라는 이름은 여전히 예약어가 아니기 때문에 다른 스코프에서는 여전히 undefined
라는 이름을 덮어쓸 수 있다.
참고
variable === undefined vs. typeof variable === "undefined"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4725603/variable-undefined-vs-typeof-variable-undefined
Checking for undefined: === versus typeof versus falsiness https://2ality.com/2013/04/check-undefined
The void operator in JavaScript https://2ality.com/2011/05/void-operator.html
MDN undefined 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Web/JavaScript/Reference/Global_Objects/undefined
ECMAScript 3 명세 https://www-archive.mozilla.org/js/language/e262-3.pdf
How can I check for "undefined" in JavaScript?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3390396/how-can-i-check-for-undefined-in-javascript
Detecting an undefined object property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27509/detecting-an-undefined-object-property
What does "javascript:void(0)" mean? 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1291942/what-does-javascriptvoid0-mean
JavaScript undefined
vs void 0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5716976/javascript-undefined-vs-void-0
Footnotes
-
흔히 같이 묶이는
null
은 어떤 객체 값이 의도적으로 없음(intentional absence of any object value)을 나타내는 값이라고 명세에서 정의하고 있다. ↩ -
https://2ality.com/2013/04/check-undefined 의 WebReflection의 댓글 ↩
-
스토얀 스테파노프 지음, 김준기, 변유진 옮김, "Javascroipt Patterns, 자바스크립트 코딩 기법과 핵심 패턴", 인사이트, 2011 ↩
-
데이비드 허먼의 "이펙티브 자바스크립트", 악셀 라우슈마이어의 "자바스크립트를 말하다" 등 ↩
-
jQuery 기여 가이드의 Type Checks https://contribute.jquery.org/style-guide/js/#type-checks ↩
-
https://github.com/rubennorte/babel/blob/738060ebfa7ac133d7dd6a2590835acaa08f15f3/packages/babel-helpers/src/helpers.js#L645 ↩
-
"자바스크립트를 말하다"등의 저자인 악셀 라우슈마이어의 블로그 https://2ality.com/2013/04/check-undefined ↩
-
https://phuoc.ng/collection/this-vs-that/variable-undefined-vs-typeof-variable-undefined/ ↩